‘백신거부자’ 설득하는 법 ③ 방역당국과 의료인들의 노력
1 min read
Photo by Karolina Grabowska on Pexels.com
◈ 방역당국과 의료인들의 노력도 필요해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 이들 중 대다수는 백신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럽연합대외관계청(EEAS)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역당국과 의료인들의 노력 역시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구체적인 조언을 제공한다.

백신 정책과 허가 및 품질 관리에 대한 정보를 공개해 국민들의 알권리를 보장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백신 자체에 대한 문제뿐만 아니라 △백신 안전성을 다룬 정보에 대한 신뢰 △제약회사가 백신 접종 정책에 미치는 영향 △정부 인허가 절차의 문제가 있을 때의 책임 등에 대한 우려도 함께 표명했다. 이러한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보건당국과 의료인들이 정기적으로 공개적인 대화를 통해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백신을 접종하는 의료인과 환자 사이의 숙련된 의사소통을 위해 의료 기간을 대상으로 한 커뮤니케이션 교육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백신 접종을 주저하는 이들을 비난하지 말고 오히려 의료인들이 그들에게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사실을 제공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백신 접종이 자신 스스로와 아이들을 보호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무엇보다 예방접종을 선택할 권리뿐만 아니라 전염병 확산 방지에 대한 책임도 갖고 있다는 것을 강조해야 한다고 말한다.

백신 접종에 대한 무조건적인 강요는 접종 거부자들의 태도를 변화시키기 어렵다. 예방접종에 대한 잠재적 부작용과 위험성을 인정하고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해야 한다. 과거의 오류 및 백신 부작용을 인정하면서도, 백신을 통해 특정 질병이 종식됐던 성공 사례를 함께 말해주는 게 필요하다.

의료인이 환자에게 예방 접종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묻는 것보다, 환자가 예방 접종을 받을 것이라고 가정하고 질문할 때 더 긍정적인 신호를 줄 수 있다.

“백신은 자신뿐만 아니라 암이나 질환으로 고통받는 이들을 보호한다”, “백신은 심각한, 때로는 치명적인 질병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한다”, “백신은 가장 중요한 과학적 발견 중 하나다” 등 의료인들의 긍정적 메시지가 백신 접종을 유도할 수 있다.